본문 바로가기

중세 시대 여성의 모습24

중세 시대 인물-여성 통치자 올가의 두 번째 이야기 토지 소유자였던 올가 아들이 성인이 될 때까지 올가는 키예프국을 다스렸다. 기록된바 그가 통치권을 인수한 건 스물넷이라고 되어 있다. 그 당시에 이른 나이는 아니었다. 그는 아버지의 기질을 따라 무예 훈련에 열중해 정치를 어머니께 맡겨놨을 가능성도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올가의 활동 기록은 교역 본부의 설립과 운영, 토지 분야, 조공 징수였다. 남편의 복수를 한 후 그들에게 큰 조공을 거뒀는데 조공의 반은 키예프를 위해, 반은 자신의 도시를 위해 썼다고 한다. 그녀는 아들과 수행원들과 함께 드레블랴네인들의 지역을 다니며 법을 재정비하며 조공을 부과했다. 그녀의 교역 기지와 사냥터는 아직 남아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녀는 키예프의 최고 부자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녀는 여러 군데 자신의 도시를 소유했고 강.. 2022. 8. 30.
중세 시대 인물-여성 통치자 올가의 첫번째 이야기, 남편을 죽음을 복수하다! 성 올가는 루스의 초기 통치자 중 한 명이다. 10세기 경이였다. 루스는 러시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국가들의 공통된 역사적 출발점에서 시작했다. 이 국가를 세운 사람이 노르만인인지 슬라브인지는 아무도 모른다. 이 주장은 계속 대립하고 있다. 키예프 국의 무관심한 지역은 루스라고 불렸다. 루스의 첫 문헌 자료엔 올가의 행적에 분량이 많다. "네스토르 연대기"라는 명칭이 생길 정도로 1110년대 동슬라브인들의 역사의 다양한 자료를 간직하고 있다. 올가의 기록은 비슷한 시기에 역사적 기록만 적은 것이 아니라 다른 기원의 전설이 섞여 들어있다고 보아야 한다. 올가의 행적에 대한 기록은 크게 남편 이고리가 사망한 후 남편의 복수를 하는 과정과 콘스탄티노플에서 황제에게 환영받고 세례를 받는 것으로 나눠진다. 그.. 2022. 8. 29.
중세 시대 마녀2 여성이 여성을 고발한 일도 빈번했다. 여성이 여성을 적대할 때 쓰는 욕설이 "창녀와 마녀"였다. 마녀들이 남성 지배에 대한 저항을 일종의 이단을 이루고 있다는 제시 자료도 있다고 한다. 많은 피고가 하류층 여자들이었다. 전 포스팅에서 말한 "마녀의 망치" 저자들도 그녀들의 경제력에 대해 지적한 바 있다. 마녀들은 악마와의 계약으로 그다지 유익을 받지 못했는데 그 이유인즉슨 악마가 하나님을 모욕하기 위해 가장 값싼 여자들을 부리려 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즉 악마는 자신이 부리는 사람들에 대한 경멸을 통해 하나님께 도전한다는 것이다. 여성에 대한 주술 혐의 중에는 남성에 대한 혐의와 같은 방식으로 설명을 할 수 있다. 사람들은 흔히 실패와 불운을 자신들의 나쁜 주문의 결과로 생각했다. 말리노프스키는 주술은 .. 2022. 8. 25.
중세 시대 마녀 서유럽에선 악마와 내통하는 마녀에 대한 이론이 등장했다. 마녀사냥이 일어난 것은 중세 시대가 아닌 16세기, 17세기에 있었던 일이다. 중세 전성기부터 후기까지 여성이 처한 상황을 쓴 책에서는 이교적 의미의 마술과 남에게 악을 끼치는 마법적 사술을 사용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1426년에 악마론 대전이라고 할 "마녀의 망치"가 쓰인 후로 마녀 사냥꾼들이 생기고 200년 동안 자신들의 근거로 삼은 자료가 됐다. 주교법이란 텍스트에선 앙키라 공의회에서 제정된 것으로 9세기 처음 등장하지만 기원은 추측일 뿐이다. 이것은 11세기 고해사를 쓴 지침서에 참고되었다. 이 텍스트는 마술을 신봉하는 자는 누구나 이교 신앙으로 사탄을 만들어낸 미망을 현실로 받아들이는 자 같으며 이교 신앙을 고집하는 자는 마녀를 숭배하는 .. 2022.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