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시대 여성의 모습24 중세 시대 농민 여성의 환경과 상속 농민들의 역할은 매우 제한되었으나 종종 유족한 농민들이 영주를 대신하여 활동하거나 지역단위 대표회의 선거에 참여했다. 마을에도 지역 기구가 있었는데 회의와 재판이 열렸고 마을 회의에서 직임자들이나 관리자를 선출하고, 영주에 의해 임명되기도 했다. 사제나 마을 공증인을 영주가 임명해서 농민들이 선출하지 않은 직임자들도 많이 있었다. 여성은 직임 중 아무것도 담당할 수 없었고, 지역 회의에서 여성의 역할은 제한되었다. 의무적으로 참석해야 하는 회의도 여성 지주일 경우 참여했지만 미혼이거나 과부일 경우 참석할 수 있었다. 기혼 여성 지주일 경우 남편을 대리로 세워야 했다. 1304년 크라벤나라는 지역에선 영주가 농민들이 사는 땅을 팔거나 다른 사람에게 넘기려면 남녀 모든 주민의 동의를 얻어야 했다. 여성 주민.. 2022. 8. 21. 중세 도시 여성들의 교육과 여가 도시 여성은 모두가 교육받지 못했다. 유족한 시민 계층의 딸들, 길드 회원인 상인들의 딸들만 교육받았다. 하급 계층에선 남녀 모두 교육받지 못했다. 종종 남성 도제들은 수습 기간 동안 읽고 쓰기를 배우도록 학교에 보내지는 일은 있었다고 한다. 한편 도시에선 남녀 학생들이 함께 공부하는 초등학교가 있었는데 파리에서는 남녀가 다른 학교를 보내야 한다는 법령이 제정되었다. 법령이 제정되기 전 파리의 남녀 공학 초등학교가 노트르담 성당의 성가대장 감독하에 있었고, 남녀 교사들에게 교사 면허를 주었다. 납세자 명부에 여성 교사들의 이름이 이를 증명하였다. 1338년 피렌체에서 1만 명 내지의 남녀 학생들이 초등학교에서 읽기를 배웠다고 한다. 약 6세부터 12세까지다. 잉글랜드에서도 소녀들이 초등학교에 다녔는데 고.. 2022. 8. 20. 중세 도시 여성들의 직업 3 (의료) 길드들의 보호는 14세기 경제가 쇠퇴할 때 더 심해졌다. 강화의 규제는 여성에게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었다. 예시로 도제 수련기가 연장이 된 것도 길드의 유지 및 보호 목적 강화가 영향이 됐다. 도제는 숙련공이 된 이후에도 상당한 비용을 내야 길드에 회원이 될 수 있었다. 장인들의 특권을 자손들에게 물려주기 위해 외부로부터의 경쟁을 배제할 수 있는 많은 규약이 생겼으며 이런 강압적인 제약들은 여성뿐만 아니라 길드들과의 경쟁 구도가 있었기 때문에 가해졌다. 여성들은 수공업자들 사이에서 커다란 집단을 형성했다. 이런 집단은 크기가 유동적이며, 무슨 일이 생기면 제일 먼저 타격을 받는다. 14세기 독일의 도시들에서 많은 여성이 베긴회에 가입한 것은 여성에 대한 고용 기회가 현저히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고용 기회.. 2022. 8. 19. 중세 도시 여성들의 직업 2 유럽의 모든 도시에서 여성들은 세탁부, 목욕탕 조수로 일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아비뇽에서 유명한 채식사와 함께 일한 여성 채식사와 파리의 여성 채식사 등이 눈여겨볼 만하다. 여성 작가 크리스틴 드 피장에 의하면 "그녀가 내 책을 위해 채식을 여러 번 해 주었기 때문에 안다."고 덧붙였다. 이 파리의 여성 채식사는 남성 채식사들보다 훨씬 더 재주가 뛰어났지만 보수는 적었다고 한다. 또 흔치 않게 파리의 왕실 음유시인을 이끄는 가수와 약사의 길드에도 여성 회원들이 있었다. 그밖에 여관이나 선술집, 가게나 가판대, 시장이나 장터에서 음식 장사를 하는 여성들도 있었다. 혼자 일하는 여성도 있었고 소규모로 장사를 하는 장사꾼 남편과 같이 일하는 여성도 있었다. 유제품을 파는 여성, 생선과 해산물을 파는.. 2022. 8. 18.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