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세 시대 여성의 모습

중세 시대 인물 엘로이즈 두번째 이야기

by 정유이레 2022. 9. 6.
반응형

 

엘로이즈 남편 아벨라르는 수도원으로 도망쳤고 남편으로 인해 수도원으로 들어간 엘로이즈도 수녀가 되었다. 남편 아벨라르는 그의 기질에 맞게 수도사들의 부패에 투쟁하다 쫓기는 생활을 헸고 그는 트루아 영지에 교회를 세웠다 그의 탁월한 학자와 교사의 능력은 잊히긴 어렵기에 많은 학생이 그의 가르침을 듣기 위해 몰려들었고 그들은 교회 주변에 천막을 세워 생활했다. 그는 엘로이즈가 있는 곳이 어려움을 겪는다는 사실을 알고 엘로이즈를 트루아 영지에 세운 교회로 불렀고 그곳을 양도해 여성 수도자가 이끌 수 있도록 지원해줬다 엘로이즈는 수도원 내에선 기복 없는 평탄한 생활을 하는 모습이었지만 마음은 그렇지 못했다. 그런 상황에서 아벨라르가 친구에게 쓴 글을 읽게 되었고 그녀는 그에게 사랑을 호소하는 편지를 보냈다 이리하여 두 사람은 여러 차례 편지를 주고받았다.

두 사람 사이에 일어난 일들을 의연하게 대처하며 책임감을 가진 건 오히려 엘로이즈였다. 그녀는 남편 아벨라르와의 세속적인 관계를 영구히 포기했을 땐 나이가 열아홉 살이었다. 그녀는 학문에 재능이 있고 공부하는 것을 좋아했으며 매우 단정한 어린 여성이었다고 추측할 수 있는 건 외삼촌 퓔베르가 의심도 전혀 없이 독신 남성인 아벨라르에게 교육의 전권을 맡겼고 그에게 교육받는 동안 이성으로 감정이 느껴지지 않을 것이라 확신했기 때문이지 않았을까?

엘로이즈는 외삼촌의 생각과 다르게 관능의 즐거움을 느꼈고 낭만이라 여겼다. 그녀는 아벨라르가 자신을 찬양하는 노래를 지어 불렀으며 이 노래가 모든 곳에서 불린다는 사실에 감동했다. 그녀는 자기를 선택한 사람, 자기가 선택한 사람에 대한 자부심이 넘쳤으며 그녀가 그의 아이를 가졌을 땐 기쁨이 넘치는 편지를 보냈다. 그녀는 수녀가 된 이후에도 그에게 쓴 편지를 보면 아우구스투스가 자기와 결혼해 황후의 자리를 준다 해도 자신은 아벨라르의 창부가 되길 원한다고 했다.

그녀는 그의 아이를 가져서 기쁨이 넘치는 편지를 보냈음에도 그가 결혼을 제안했을 땐 거절했다고 한다. 첫째 이유는 결혼 생활의 부담을 주고 싶지 않아서였다. 결혼 생활은 학문에 방해된다는 게 가장 큰 이유였다. 고대 현자들은 결혼을 회피한다는 이유를 열거하기도 했다. 그녀가 의존한 것은 기독교 이전의 고대 철학자들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결혼의 거부는 그녀 자신을 위한 것이기도 했다. 그녀는 자유롭게 사랑하며 순수하고 영원하길 원했다. 결혼하면 사랑의 감정이 변하여 의무의 감정으로 변질할 수 있으니 사랑을 유지하기 위해선 연인 관계가 더 낫다고 생각했다. 그녀는 결혼보다는 사랑과 종속보다는 자유를 원했다. 당시 엘로이즈는 열일곱 살이었다. 당시에 결혼하기에 어린 나이는 아니었고 현실 속 결혼 모습을 알고 있었다. 아이를 기르고 생활비를 벌어야 하는 남편이 느끼는 부담감과 남편이 아내에게 느끼는 싫증 등 결혼 후 일상의 평범함으로 사랑이 변질한다고 생각했고 그것을 용납하지 않았다. 늘 새롭고 가슴이 터질 것 같은 사랑을 하고 싶었다. 그렇기에 결혼제도 안에 들어가지 않고 자신의 의지에 따라 행동할 수 있는 사랑을 하고자 한 것이다. 그녀가 결혼과 사랑에 대해 이토록 자유로운 태도를 보일 수 있었던 것은 외삼촌 퓔베르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경제적으로 여유를 가질 수 있던 중상층 이상 계급의 여성이었기 때문이라는 의견도 있다. 그녀는 경제적으로 안정이 돼 있으니 결혼을 생각할 필요가 없었다. 엘로이즈에게 의도적으로 접근한 아벨라르에 비해 그녀는 어떤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그렇다고 엘로이즈는 욕망에만 충실했던 것은 아니다 아벨라르가 남성성을 잃은 후에도 열렬한 사랑에 대한 편지를 계속 보냈다.

두 사람의 편지에는 아이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 당시 사회에서 계층을 막론하고 결혼에 의하여 태어나지 않은 서자는 대단히 불안정한 위치였다. 그런데도 그들의 결혼 문제에 논의할 때도 엘로이즈는 아이를 양육하는 시간과 노력과 비혼모라는 지위까지 모두 떠맡으려 했던 것 같다. 또 엘로이즈는 프랑스에 이름을 알릴 정도로 재능이 있었지만 당시 여성이 교육 활동을 하는 것은 불가능이라 그랬는지 그녀는 학문적 성취 요구는 보이지 않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