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학부모 상담19 아이의 사춘기, 학부모는 어떻게 해야 할까 아이가 어릴 땐 착하고, 부모의 말도 잘 듣고, 반항도 안 헀는데 언제부턴가 아이가 반항합니다. 어느덧 아이가 자라서 스스로 삶을 주도하려는 모습이 부모의 눈에는 말을 안 듣는 것으로 보이는 것인데요, 이런 사춘기 때를 맞이한 것 같다면 하나만 기억해 주세요. "너는 너니까"라고 생각하는 여유를 가지세요. 아이는 심리적으로 독립하고 싶어 할 때입니다. 살짝 아이의 뒤로 한 걸음 물러나 아이의 변화를 인정해 주세요. 아이가 혼자서 걸으려는데 아이가 다칠 것을 걱정해 계속 안고 있을 수는 없습니다. 부모는 아이의 걸음마를 지켜보는 마음으로 아이가 도움이 필요할 때 언제든지 손을 잡아줄 수 있는 위치에 있으면 됩니다. 익숙하지 않은 걸음 속에 아이는 자신의 문제를 돌아보며 스스로 걷는 법을 분명 배우게 됩니다.. 2022. 7. 27. 초등생 독해력 기르기 독해력의 중요성은 학부모께서 아실 거라 생각합니다. 독해력 기르기를 검색하면 영상과 문제집 등이 많이 나옵니다. 그만큼 많이 신경이 쓰이고, 신경 쓰는 영역입니다. 독해력은 간단히 말하자면, 읽고 이해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아이들의 모든 과목은 읽고 이해하는 것이 기본이기 때문에 필수이죠. 수학은 서술형 문제가 많아지고, 길어진 문제를 이해하지 못하면 풀 수 없습니다. 국어는 지문이 길어지고 복잡합니다. 사회는 지구촌과 경제, 역사, 정치 등을 읽고 듣고 보는 양이 많아지며 과학은 실험 과정과 결과의 서술 내용이 깁니다. 특히나 초등 5학년 과정을 4학년과 비교하면 단계가 깡충 뛰어넘어 가는 수준으로 아이들이 교과 내용을 어려워합니다. 예전에 방영됐던 에선 세 명 중 한 명은 자신의 학년 교과 학습을 제.. 2022. 7. 26. 초등 독서 : 고전 독서 읽기 시작 아이들이 독서 읽기의 단계가 상승이 되면 여러 권의 책을 읽는 것보다 좋은 책 한 권을 읽는 게 더욱더 중요하단 말은 많이 들어보셨을 것 같습니다. 좋은 책이라면 저는 자신 있게 고전을 추천합니다. 고전 독서라 하면 조금 부담스럽게 생각하실 수 있는데요, 고전 독서라고 하면 소위 논어, 명심보감, 소학과 같은 인문 철학 고전과 어린 왕자, 허생전, 비밀의 화원과 같은 고전문학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습니다. 먼저 아이가 쉽게 접근하려면 고전 문학을 접하는 게 좋겠지요. 소위 "명작 동화"란 이름으로 어렸을 때부터 많이 접해 봤기 때문에 덜 부담됩니다. 고전을 왜 읽어야 할까요? 고전 독서도 학습에 큰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고전 독서를 알아보셨다면 " 존 스튜어트 밀"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영국의 철학.. 2022. 7. 25. 초등생 학부모님들께서 많이 물어보시는 것 # 우리 아이가 계속 학원에 다니는데 점수가 왜... 우리 아이의 실력을 직접 보셔야 합니다. 아이의 문제 풀이 과정을 직접 보시고, 함께 공부하셔야 합니다. 다른 아이들과 비교하거나 학원의 평가가 아닌 학부모님들의 관심으로 아이가 성장하여 나아가거나 수학을 포기한 수포자가 되는가의 방향이 달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노력한 만큼의 결과가 나오기가 힘듭니다. 함께 아이의 실력을 보면 부족한 점이 눈에 보이실 겁니다. 연산 실수도 하고, 쉬운 문제도 틀리고, 그냥 하기 싫어하고, 자신감이 없고, 서술형이나 문장제 문제들은 이해를 못 합니다. 혹은 이해해도 풀이 과정을 쓰지 못해 넘깁니다. 많이 답답하실 겁니다. 하지만 초등 수학은 포기하기 이릅니다. 아이의 성향과 수준에 맞게 학부모님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2022. 7. 23. 이전 1 2 3 4 5 다음